뉴스룸

2025-2026 대한민국 베스트 코스 발표…잭니클라우스골프클럽코리아 '최초 1위 영예'
2025.05.16
  • 잭니클라우스골프클럽코리아

골프 코스를 바라보는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어떤 지형에서도 코스를 만들 수 있는 현대 건설 기술의 발전으로 더 이상 자연스러운 지형을 살리는 것만이 필수인 시대가 아니지만, 세계적 트렌드는 여전히 골프 본연의 형태로 회귀하고 있다. 이는 골프의 원초적 즐거움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지형이 지닌 아름다움을 얼마나 가치 있게 살리며 유지 관리하고 있는가’, ‘플레이어가 골프를 온전히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대한민국 베스트 코스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 포스트-엔데믹, 세계적 트렌드의 반영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한 <골프다이제스트> 선정 ‘대한민국 베스트 코스’는 팬데믹 시대를 지나 엔데믹 이후의 세계적 코스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우리의 코스 전문 패널들은 2년간 전국 412곳의 골프장을 대상으로 일곱 가지 평가 항목에 맞춰 공정하게 점수를 매겼고, 그 결과를 마침내 공개한다.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적 골프 코스 설계 트렌드는 골프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과거로의 회귀’ 움직임이 뚜렷하다. 인위적 요소의 개입을 최대한 배제하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따르는 미니멀리즘 설계 철학에 따라 전통적 링크스 스타일 코스가 부활하고, 과거의 역사적 미학과 현대적 감각을 깨우는 코스 리노베이션과 복원 프로젝트 붐도 일고 있다. 현대 미니멀리즘의 대표적 코스 설계가 톰 도크는 “대지는 말하고 있고, 우리는 그 소리를 따라야 한다”고 말했고, 빌 쿠어는 “우리는 골프장을 찾지 않는다. 그저 찾아낼 뿐이다”라고 강조했다. 

 

골프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 골프 코스도 세계적 흐름을 따르는 추세가 엿보인다. 과거 일본의 영향을 받은 정원식 코스에서 벗어나 산악형 험지에서도 인공미를 줄이고 자연 지형을 최대한 살리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또 세월의 묵은 흔적을 지우는 코스 리노베이션과 복원도 활발하다. 2008년 베어크리크골프클럽포천(20위)이 성공적 리노베이션으로 재탄생한 이후 필요성이 대두됐고, 최근 2023년에는 서원힐스컨트리클럽(38위)이 LPGA투어 개최를 계기로 데이비드 데일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주도해 벙커를 전면 리뉴얼하는 등 새롭게 태어났다. 우정힐스컨트리클럽(5위)은 대규모 리노베이션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간 휴장에 들어가 18홀 전체 그린 리뉴얼과 페리 O. 다이의 최초 설계 모습으로 복원을 단행했다. 

 

이런 노력이 반영된 결과 서원힐스는 올해 대한민국 50대 코스에 처음 진입했고, 우정힐스는 2년 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제주의 클럽나인브릿지(2위)와 경남 남해의 사우스케이프오너스클럽(9위), 전남 해남의 파인비치골프링크스(13위)가 베스트 코스에 꾸준히 오르고, 강원도 강릉의 샌드파인골프클럽(48위), 충남 태안의 골든베이골프앤리조트(49위), 전남 여수의 세이지우드여수경도(50위)가 순위에 든 것은 접근성을 벗어난 해안에 인접한 코스에 대한 재평가다. 엔데믹 이후 본연의 골프 그 자체를 즐기려는 요구도 베스트 코스 결과에 반영됐다. 스크래치 골퍼가 느낄 수 있는 샷 가치를 지닌 코스에서 최상의 코스 관리 상태로 오직 플레이에 집중할 수 있는 운영이 가능한 곳, <골프다이제스트>가 선정한 베스트 코스 톱 15는 곧 골프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우리의 전문 패널 100명이 최고의 코스를 선정하는 기준은 매우 까다롭다. 2023년 베스트 코스 발표 이후 젊은 감각의 패널들과 골프 산업 관련 전문가, 조경 전문가 등을 새로 영입해 변화하는 골프 코스에 대한 식견을 들을 수 있었고, 올해 결과에 반영했다. 코스 평가 항목은 ① 샷 옵션(Shot Options) ② 도전성(Challenge) ③ 레이아웃 다양성(Layout Variety) ④ 기억성(Memorability) ⑤ 심미성(Aesthetics) ⑥ 코스 관리 상태(Conditioning) ⑦ 즐거움(Fun) 등 총 일곱 가지로, 샷 옵션의 평가 점수에 2배의 가중치를 부여했다. 그리고 우리는 전문 패널의 평가에 더해 베스트 코스 선정 방식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기반한 객관적 지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통계적 표준화 지표인 Z-스코어를 적용했다. 각 평가 항목별로 데이터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표준편차 기준으로 수치화해 재평가했다. 

 

그 결과 상위 15곳 중 2곳이 새롭게 이름을 올렸고, 무려 14곳의 순위가 바뀌는 지각변동이 있었다. 가장 큰 변화는 베스트 코스 1위에 처음 오른 잭니클라우스골프클럽코리아다. 잭니클라우스는 프레지던츠컵·DP월드투어·LIV골프(5월 개최 예정) 등 세계적 국제 대회를 잇따라 유치하며 위상을 올렸고, 규모가 큰 대회를 통해 꾸준히 코스를 개선한 노력이 반영됐다. 클럽나인브릿지는 2위로 왕좌를 내줬고, 웰링턴컨트리클럽은 3위로 한 계단 밀렸다. 4위는 전통의 안양컨트리클럽, 5위는 우정힐스가 자리했다. 그 뒤를 이어 6위 해슬리나인브릿지, 7위 제이드팰리스골프클럽이 한 계단씩 상승했고, 트리니티클럽은 8위로 세 계단 내려앉았다. 사우스케이프오너스클럽이 다시 9위로 한 계단 올랐고, 남촌골프클럽이 처음으로 10위에 진입했다. 사우스스프링스컨트리클럽이 11위, 세이지우드컨트리클럽홍천이 14위로 4년 만에 베스트 코스에 재진입했고, 핀크스골프클럽이 12위로 유일하게 순위를 유지한 가운데 13위 파인비치와 15위 휘슬링락컨트리클럽은 각각 네 계단씩 하락했다. 

 

베스트 코스에 오른 톱 15를 포함한 대한민국 50대 코스가 역사와 전통을 갖춘 골프장으로 재편되면서 엔데믹 이후 생존한 열정적인 골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보여준다. 

 

 

◇ 베스트 코스 평가 항목

 

① 샷 옵션(Shot Options) : 코스 레이아웃이 갖추고 있는 멘탈 게임과 전술적 선택의 폭을 따지는 항목으로, 위험과 보상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얼마나 잘 제시하고 있는가?

 

② 도전성(Challenge) : 스크래치플레이어 기준으로 얼마나 공정하면서도 도전적인가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플레이어가 최선의 실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직간접적 요소들을 이용해 도전 의욕을 고취하는가를 측정한다.

 

③ 레이아웃 다양성(Layout Variety) : 코스가 14개 골프 클럽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지, 위험과 보상이 포함된 다양한 옵션을 얼마나 잘 제시하며, 광범위한 영역의 샷을 제대로 요구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④ 기억성(Memorability) : 코스의 각 홀이 얼마나 개성이 있는가, 각 홀이 차별적 특색을 지녀 오랜 시간이 흘러도 기억할 수 있는가?

 

⑤ 심미성(Aesthetics) : 아름다움의 가치가 라운드의 즐거움을 얼마나 더하는가? 코스의 경관과 조경,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벙커와 그린, 페어웨이 라인과 기타 페널티 구역의 배치 및 형태에 이르기까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얼마나 매력적인가?

 

⑥ 코스 관리 상태(Conditioning) : 페어웨이는 얼마나 균일한가? 견고하면서도 수용적인 그린은 볼이 얼마나 정직하게 구르는가? 단, 여기서 그린 스피드는 해당하지 않는다(이는 샷 옵션과 도전성의 항목이다). 페어웨이와 그린의 배수와 잔디 품질 등 코스의 유지 관리 수준은 어떠한가?

 

⑦ 즐거움(Fun) : 모든 수준의 골퍼가 이 코스를 정기적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가? 여기에는 운영적 측면을 포함해 안전성과 편리성, 접근성, 친절도, 기여도 등 골퍼에게 즐거움을 주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다.

 

※ 코스 평가 세부 사항 : 일곱 가지 평가 항목당 6~10점을 부여한다. 이때 10점은 매우 좋다, 9점은 좋은 편이다, 8점은 보통이다, 7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6점은 매우 나쁘다라는 기준을 적용한다. •샷 옵션에는 평가 점수의 2배를 곱한다. 코스 평가에서 중요한 항목이라 가중치를 둔다. 세부 점수에서는 소수점 두 자리까지 집계한다. •최고 점수는 80점, 최저 점수는 48점이다. •여섯 가지 평가 항목은 미국 <골프다이제스트>와 동일한 기준을 따른다. 다만 한국은 기억성 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은 캐릭터(Character)를 항목에 넣어 그 시대를 반영한 탁월한 특성에 대해 평가한다.

 

 

 

출처 : 골프다이제스트코리아(https://www.golfdigest.co.kr)